티스토리 뷰

서울시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중교통비를 지원합니다. 교통카드 사용액의 20%를 돌려주고 연간 최대 10만원을 지원해준다고 하니 이 글을 1분만 집중해서 보셔서 공짜 돈 꼭 받아가시기 바랍니다. 신청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남겨놓을 테니 바로 클릭해 보세요. 

 

 

사업소개

① 신청기간

2023년 3월 28일 화요일 10시부터 ~ 5월 31일 수요일 17시까지

 

② 신청방법

서울시 청년 대중교통 지원비는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
③ 교통카드별 신청방법- 본인 명의(가족카드안됨)의 교통카드로만 마일리지 적립 가능

 

티머니 선불교통카드- 티마일리지 제공

삼성페이, 모바일티머니,티머니 플레이트 카드

※ 카드번호 101로 시작

후불 체크카드/ 신용카드- 카드포인트 제공

삼성카드, 신한카드, 우리카드(BC카드-우리 선택), 하나카드, 현대카드, KB국민카드

IBK 기업은행 BC카드, 하나 BC카드, BC바로카드

 

④ 신청조건

신청일 기준 서울거주 만 19세에서 만 24세 청년 (1998년 1월 1일 ~ 2004년 12월 31일 출생자)

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(외국인등록상, 국내거소신고상) 거주지가 서울특별시인 자 

※ 제외대상

서울시 청년수당,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,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유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은 제외됩니다.

 

⑤ 지원금액

교통카드 실사용액의 20%를 연2회 교통 마일리지로 지급하며 연 최대 10만원 한도에서만 가능합니다.

 

⑥ 지급시기

상반기(2023년 7월 예정) : 2023년 1월 1일 ~ 6월 30일까지 사용한 금액

하반기(2024년 1월 예정) : 2023년 7월 1일 ~ 12월 31일까지 사용한 금액

 

♧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 지원비에 문의사항이 있으면 콜센터: 1644-9241 로 연락하셔서 문의하시면 됩니다.

 

<함께 보면 좋은 글>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, 신청기간, 총정리

청년희망적금의 인기에 힘입어 올해 6월 말에 "청년도약계좌"가 출시된다.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적금이다. 청년층들만 가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인 만큼

moneystudyk.com

 
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, 비교

새 정부의 청년지원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6월에 시행함에 따라 청년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했을때 조건과 내용은 어떻게 다르며 중복 가입이 가능한지

moneystudyk.com

 

반응형